안녕하세요, 서울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며 AI 기술과 투자 트렌드를 꾸준히 탐구하고 있는 20대 대학생 투자자입니다.
오늘은 엔비디아가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한 소식과 나스닥 기록 경신, 그리고 시장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핵심 3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주요 내용 및 배경
- 7월 9일(현지 시각), 엔비디아는 장중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초의 4조 달러 기업이 되었습니다. 장 마감 시점에는 약 3.97조 달러 수준으로, 주가는 전일 대비 1.8% 상승 마감했습니다.
- 같은 날 나스닥 종합지수는 기술주 랠리에 힘입어 전일 대비 0.95% 오른 20,611.34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동시다발적 관세 발표와 시행 연기 언급을 반복했으나, 시장은 이미 그의 ‘관세 검증’ 패턴에 익숙해져 이슈화하지 않았습니다. 투자자들은 오히려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와 AI 모멘텀에 집중하는 모습입니다.
2. 시장 반응 및 이유
-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 2년간 287% 급등해 예상 실적 대비 PER 34배 수준까지 올랐으며, 올해 순이익은 1,000억 달러를 넘길 것으로 전망됩니다.
- AI 시대의 불가피성: 고가의 AI 칩 투자 없이는 경쟁에서 도태되기 때문에 빅테크들은 데이터센터 확대에 공격적으로 자본을 투입 중입니다.
- 아마존은 노스캐롤라이나에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1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는 2025 회계연도에 AI 트레이닝·배포용 데이터센터에 800억 달러를 투입할 계획입니다.
- 메타 역시 올해 최대 650억 달러를 AI 인프라 강화에 지출한다고 밝혔습니다.
3. 전망 및 유의점
- 밸류에이션 리스크: 닷컴 버블 시절 시스코 사례처럼 급격한 주가 상승 뒤 조정이 뒤따를 수 있습니다. 빠른 성장 속도만으로 향후 상승을 보장하지 않으며, 조정기에 대비한 손절·분할 매수 전략이 필요합니다.
- 금리 및 규제: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과 기술 규제 강화 움직임이 기술주에 미칠 영향도 놓쳐서는 안 됩니다.
✍️ 마치며
저는 Apple 맥북 프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코딩이나 다양한 작업에서는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지만, AI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NVIDIA CUDA를 사용할 수 없어 속도가 느리고 메모리 부족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클라우드에서 NVIDIA GPU를 대여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AI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NVIDIA가 필수적이기에, 저도 자연스럽게 NVIDIA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주식도 보유했었습니다. 제게 NVIDIA는 AI 시대에 없어서는 안 될, 이제는 당연한 존재가 된 기업입니다. 😂
엔비디아의 4조 달러 돌파와 나스닥 사상 최고치는 AI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을 재확인시켜 주었습니다. 다만 과도한 밸류에이션과 관세·정책 리스크가 상존하므로, 반도체·클라우드·AI 인프라 기업에 투자하실 때는 분할 매수 및 리스크 관리 전략을 병행하시길 권합니다.
다음번에 기회가 되면 엔비디아의 CUDA에 대해 설명할 수 있도록 돌아오겠습니다!
구독과 공감 그리고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2025.05.18 - [투자 관련 포스팅] - AI의 심장은 다 뜯어보면 결국… 엔비디아
💡 이 글은 개인 투자자의 의견으로, 특정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은 각자의 책임하에 신중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투자 관련 포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적금 대신? 빗썸 스테이킹으로 매일 스타벅스 마시기 (4) | 2025.07.10 |
---|---|
디지털 골드의 미래는? 비트코인·이더리움·솔라나 완벽 가이드 (5) | 2025.06.27 |
📈디지털 금의 귀환!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 (7) | 2025.05.22 |
🧠AI 시대, 진짜 실전에서 쓰이는 회사? 팔란티어를 주목하라 (3) | 2025.05.21 |
AI의 심장은 다 뜯어보면 결국… 엔비디아 (5) | 2025.05.18 |